9 외로움ㅡ이향애
- 임신옥(53)
- 2024.06.12 20:28
- 조회 121
- 추천 0
왜 인간만이 ‘외로움 유전자’를
갖고 태어날까?
인류의 뇌가 상대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진화하고,
소통의 기술이 발달한 것은 바로
이 외로움을 피하기 위함이다
즉 "외로움 유전자"는 우리를
사회적 인간으로 만든다
성격이 내성적인지 외향적인지는
외로움과 상관 관계가 없고,
외로움에 대해서 긍정적인 면을 찾을수
있어야 한다
특히 노년의 외로움을 방치하면,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우리에게 맞는 해결책을
스스로 찾아나가야 한다
1. 친구나 가족과 같이 시간을 보낼수
있는 시간을 찾아보자
2. 연락을 정기적으로 주고 받는
나만의 사회적 루틴을 만들자
예: 단체 토크방
3. 좋아하고 즐길수 있는것들을 더
많이 하자
예: 근처 공원 산책,
평소에 가보고 싶은 장소들을 버킷리스트로 만들어 방문해보기
4. 새로운 것들을 해보고 배우자
예: 외국어, 악기, 그림, 춤등등
배우기에 도전 해보기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인간관계를
맺으면서 나와 공통된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을 만나야한다
살아온 경험과 생각을 나누면서
동시에 믿음을 배울수 있는 관계를
만들어 나가야한다
우리 자신만이 자신의 틀을 깨고나와
외로운 기분을 바꿀수있고,
극복하는 방법은 남에 대한 관심과
이타심, 배려이다
지금이라도 언제든지 시작할수있다ㅡ정진우 정리
- 전체1건(1.32 MB) 모두 저장